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잡정보

정부24 전입신고 방법 - 인터넷으로 처리하기

by Panda House 2024. 11. 23.
320x100

-정부24로 하는 전입신고, 이것만 알면 된다


이사 가는 경우, 예전에는 동사무소에 가서 줄 서서 전입신고를 했는데, 이제는 정부24로 간단히 할 수 있다. 나도 얼마 전에 이사하면서 써봤는데 생각보다 쉽고 편했다. 중요한 점들만 정리해보았다.

-준비물부터 챙기자


준비물이라고 별 건 아니고 일단 공동인증서나 간편 인증수단이 필요하다. 카카오톡이나 네이버, PASS 같은 간편 인증도 가능하다.

당연히 주민등록번호도 필요하고 이사 전후 주소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계약서도 폰으로 촬영해두면 좋다. 증빙자료로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고 절차는 의외로 간단하다


1. 정부24 사이트나 앱에 접속해서 로그인하고
2.  '전입신고'를 검색하면 된다.
3.  새로운 주소와 이전 주소를 입력하고,
4. 같이 이사 가는 가족이 있다면 추가하면 된다.
5. 이사한 날짜도 정확히 입력해야 한다.
6. 계약서도 첨부한다. 그렇게 하면 일을 줄일 수 있다.
7. 입력이 끝나면 확인하고 제출하면 끝이다.



-놓치기 쉬운 주의사항들


가장 중요한 건 기한이다. 이사 후 14일 안에 꼭 신고해야 한다. 까먹고 있다가 과태료 물린 사람들이 꽤 있다고 한다. 그리고 주소를 입력할 때 도로명 주소로 정확히 써야 한다. 건물명이나 동호수도 빠짐없이 입력해야 한다. 세대주가 바뀌는 경우에는 기존 세대주의 동의가 필요할 수도 있으니 미리 확인하자.

-이것도 같이 하면 좋다

전입신고 할 때 차량등록이나 요금 고지서 주소 변경도 같이 신청할 수 있다. 전기, 수도, 가스 같은 공과금 주소를 한 번에 바꿀 수 있으니 귀찮게 따로 하지 말고 같이 하자. 운전면허증 주소 변경도 가능하다. 이런 걸 놓치면 나중에 일일이 해야 하니 번거롭다.

결론적으로 정부24 전입신고는 생각보다 쉽다. 준비물만 잘 챙기고 기한만 지키면 된다. 특히 14일 기한은 절대 놓치지 말자. 이사할 때 할 일이 워낙 많으니 달력에 표시해두는 게 좋다. 스마트폰 알림을 설정해두는 것도 방법이다. 이제 동사무소 갈 필요 없이 집에서 편하게 할 수 있으니 이런 편리한 서비스를 잘 활용하자.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