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 정부정책

은행 지점 통폐합 가속화, 고령층의 금융 소외

by Panda House 2025. 1. 10.


비대면 금융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은행 지점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특히 2025년 들어 주요 은행들이 대규모 통폐합을 진행하면서 고령층의 금융 접근성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디지털 금융으로의 전환이 필연적이라지만, 고령층의 불편함과 금융 소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대책이 필요하다.

2025년 은행 지점 통폐합 현황


비대면 거래가 일상화되면서 은행들이 점포 수를 줄이고 있다. 주요 은행들은 비용 절감을 이유로 지점 통폐합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특히 수익성이 낮거나 이용자가 적은 지방 지점을 중심으로 점포 축소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은행은 전국 21개 영업점을 인근 지점과 통합했으며, 신한은행과 NH농협은행도 각각 20개 이상의 점포를 폐쇄하거나 통합할 예정이다. 이러한 통폐합은 점포 유지 비용을 절감하고 디지털 서비스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려는 전략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지방이나 농어촌 지역에 거주하는 고령층에게 큰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은행 업무를 보기 위해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것은 물론, 디지털 금융 서비스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이 금융 거래에서 소외될 위험이 커지고 있다.



고령층이 겪는 금융 접근성 문제

지역별 접근성 격차


고령층이 많은 지방 지역에서는 은행을 방문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는 평균 500m 이내에 은행 지점이 위치하지만, 강원도나 전라남도와 같은 지방에서는 은행까지 20km 이상을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농어촌 지역은 은행 지점이 거의 사라져버려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시내로 나가야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접근성 문제는 단순한 불편을 넘어 금융 소외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고령층이 현금 인출, 송금, 대출 등의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워지면 일상생활에서 큰 불편을 겪게 되며, 이는 사회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다.

디지털 금융 소외


고령층의 디지털 금융 이용률은 여전히 낮다.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뱅킹을 이용할 줄 아는 고령층도 일부 있지만, 대부분은 여전히 대면 거래를 선호한다. 특히 70대 이상의 고령층은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않아 인터넷 뱅킹이나 모바일 앱을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디지털 금융 소외는 단순한 기술적 문제를 넘어 심리적 장벽으로 작용한다. 고령층은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것을 두려워하거나, 보안 문제에 대해 불안감을 느낀다. 이로 인해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기피하게 되고, 결국 은행 지점을 직접 방문하는 대면 거래를 선호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은행 지점이 줄어들면서 고령층은 이러한 대면 거래조차 쉽지 않은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의 고령층은 은행 업무를 보기 위해 몇 시간을 이동해야 하는 상황도 발생하고 있다.

고령층을 위한 대책 필요

금융당국의 대응


금융당국은 은행들이 점포를 폐쇄하기 전에 사전영향평가를 강화하고 있다. 이 평가는 해당 지역의 금융 접근성을 점검하고, 고령층과 같은 취약계층이 금융 서비스를 계속 이용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일부 은행들은 디지털 금융 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고령층을 위해 무인점포를 운영하거나, 모바일 기기 사용법을 알려주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책은 아직 충분하지 않다. 고령층이 디지털 금융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직관적이고 쉬운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 대면 서비스를 완전히 없애기보다는 일부 지점은 유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지역 맞춤형 대책 필요


은행들은 지점 폐쇄 시 지역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고령층이 많은 지역은 지점을 줄이는 대신 대면 서비스와 디지털 서비스를 혼합한 형태의 점포를 운영할 수 있다. 또한, 고령층을 대상으로 금융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은행원이 직접 방문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찾아가는 금융 서비스'도 고려할 만하다.

또한, 고령층이 디지털 금융을 쉽게 배울 수 있도록 지역 커뮤니티 센터나 복지관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도 효과적인 대책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령층이 디지털 금융 서비스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일상생활에서 더 편리하게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