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엇 클라이언트를 삭제하고 다시 설치하려고 할 때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이럴 때는 단계별로 차근차근 해결해야 한다. 특히 완전히 삭제가 안 된 잔여 파일이나 레지스트리 때문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
기본적인 문제 해결 방법
먼저 컴퓨터에 남아있는 라이엇 관련 파일들을 완전히 지워야 한다. C드라이브에 있는 Riot Games 폴더를 삭제하는 건 기본이고, ProgramData 폴더에 숨어있는 라이엇 관련 폴더도 다 찾아서 지워야 한다. 레지스트리에도 관련 정보가 남아있을 수 있는데, 윈도우 키 + R을 눌러서 regedit을 실행한 다음에 Riot Games 관련된 항목들을 모두 찾아서 지워야 한다.
설치 과정에서 주의할 점
새로 설치할 때는 반드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한다. 라이엇 게임즈 공식 홈페이지에서 최신 버전의 클라이언트를 다운받고, 설치 파일을 우클릭해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선택하는 게 좋다. 그리고 설치하기 전에 작업 관리자를 열어서 혹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라이엇 관련 프로세스가 있는지 확인하고 다 종료해야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gTMsf/btsLdFPYMsf/WvUkq5KKFj5Fc6gS824SJ1/img.jpg)
추가적인 문제 해결 방법
가끔 방화벽이나 백신 프로그램 때문에 설치가 안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는 방화벽 설정에서 라이엇 클라이언트를 예외로 등록해주거나, 백신 프로그램을 잠시 꺼두고 설치를 진행해보면 된다. 인터넷 연결 문제일 수도 있는데, 이때는 DNS를 구글 공개 DNS(8.8.8.8이나 8.8.4.4)로 바꿔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문제가 계속되면 Hextech 복구 도구를 써보는 것도 방법이다. 이 도구는 시스템이랑 롤 관련 로그를 수집해서 문제의 원인을 찾아내는 데 도움을 준다. 로그를 수집할 때는 "Gather System & LoL Logs" 옵션을 켜두는 게 좋다.
이런 방법들을 다 시도해봤는데도 안 되면 라이엇 게임즈 고객 지원 센터에 문의하는 게 좋다. 문의할 때는 지금까지 시도해본 방법들이랑 수집된 로그 파일을 같이 보내면 더 빨리 해결할 수 있다.
결국 라이엇 클라이언트 재설치 문제는 대부분 이전 설치의 잔재들 때문에 생기는 거라서, 깔끔하게 다 지우고 새로 설치하는 게 중요하다.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가면서 하면 결국에는 해결할 수 있다.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비노기 언리얼 엔진으로 무엇이 바뀔까? (3) | 2024.12.13 |
---|---|
라이엇 게임즈 계정 관리 삭제 및 복구 주의점 (1) | 2024.12.10 |
마비노기 발화석 구매와 채집 완벽 가이드 (0) | 2024.12.09 |
마비노기 프리렌 가방 관련 사실들 정리 (1) | 2024.12.09 |
마비노기 염색도우미 설치부터 사용방법까지 가이드 (0) | 2024.12.08 |